취뽀 기록

#열심히 살자 #취업 #공부

코드트리 해설 67

[코드트리] 사칙연산 > 간단한 사칙연산

간단한 사칙연산 두 정수 a, b를 입력받아 다음 값들을 전부 계산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두 정수를 더했을 때의 결과 a에서 b를 뺐을 때의 결과 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몫 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# 변수 선언 및 입력 inp = input() arr = inp.split() a = int(arr[0]) b = int(arr[1]) print(a + b) print(a - b) print(a // b) print(a % b) # 나의 풀이 x = input().split(" ") a = int(x[0]) b = int(x[1]) print(a + b) print(a - b) print(a // b) print(a % b)

[코드트리] 특정 문자를 사이에 두고 2개의 값을 입력

python에서 split() 함수는 기본적으로 공백을 사이에 두고 문자열을 잘라주는 함수입니다. 만약 공백이 아닌 :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주기 위해서는, 다음과 같이 split 함수 안에 해당 문자를 적어주면 됩니다. python3 코드 a = input() print(a.split(":")) 출력결과 >> 50:60 ['50', '60'] 1시간 뒤 시간 출력 h:m 모양의 시간과 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시간을 입력받아 1시간 뒤의 시간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풀이 # 변수 선언 및 입력 inp = input() arr = inp.split(":") h = int(arr[0]) m = int(arr[1]) # 출력 print(f"{h + 1}:{m}") # 나의 풀이 time = ..

[코드트리] 공백을 사이에 두고 입력

python에서 입력은 한 줄 단위로만 받을 수 있습니다. 만약 2개의 숫자를 한 줄에 공백을 사이에 두고 받고 싶다면 코드를 어떻게 작성하면 될까요? python에는 split()이라는 함수가 있습니다. 이 함수는 문자열을 특정 기준으로 잘라주는 함수입니다.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split 함수를 그대로 사용하면,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각 잘려나간 단위가 하나의 원소가 되어 해당 원소들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list가 만들어집니다. python3 코드 a = input() print(a.split()) 출력결과 >> 13 17 ['13', '17'] list라는 것은 여러 원소를 들고있는 묶음으로, list 안에 있는 각 원소를 참조하기 위해서는 원소의 번째 수 - 1 값을 대괄호 []와 같..

[코드트리] 출력 > 출력형식_개념

변수에 담긴 값을 원하는 형식에 맞춰 출력하기 위해서는 크게 3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1. 변수 포맷(%d, %s, ...)과 %를 사용 다음과 같이 문자열에 해당 변수의 type에 해당하는 포맷을 적어주고, 맨 뒤에는 % 뒤에 변수를 나열하는 식으로 포맷을 맞출 수 있습니다. 2개 이상의 변수를 한 문자열에 넣기 위해서는, 소괄호()로 감싸 순서대로 변수들을 나열하면 됩니다. python3 코드 a = 5 print("A is %d" % a) b = "apple" print("B is %s" % b) print("A is %d and B is %s" % (a, b)) 출력결과 A is 5 B is apple A is 5 and B is apple 변수 포맷은 문자열의 경우 %s를, 문자의 경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