취뽀 기록

#열심히 살자 #취업 #공부

Python 185

[코드트리] 배열 만들기 > 100 도달하기

정수 n이 주어지면 정수 n을 두 번째 항으로 초기화하고 첫 번째 항은 1로 초기화 한 후에, 세 번째 항부터 전전항과 전항을 더한 수로 채워나가다가 100을 넘길때까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# 입력받은 정수를 배열의 두번째 인덱스에 저장 n = int(input()) arr = [1, n] cnt = 1 # 배열을 전전항과 전항을 더한 수로 채워나가고, 그 값이 100을 초과하면 while문을 탈출 while True: cnt += 1 arr.append(arr[cnt - 1] + arr[cnt - 2]) if arr[cnt] > 100: break # 100을 딱 초과한 항까지 배열의 인덱스에 저장된 값을 출력 for elem in arr: print(elem, end=" ") # 나의 ..

[코드트리] 배열 만들기 > 특정 조건에 맞게 출력하기

정수가 차례로 주어지다가 0이 주어지면 0을 제외하고 그때까지 주어진 정수를 차례로 출력하되 그 수가 홀수이면 3을 더한 값을, 짝수이면 2로 나눈 몫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# 배열에 주어진 수를 입력받아 저장합니다. 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new_arr = [] # 입력받은 정수로부터 출력할 값을 새로운 배열에 저장하고, 0이 나오면 for문을 탈출 for i in range(100): if arr[i] == 0: break if arr[i] % 2 == 0: new_arr.append(arr[i] // 2) else: new_arr.append(arr[i] + 3) # 0이 나오기 전까지의 배열의 인덱스에 저장된 값을 출력 for elem i..

[코드트리] 배열 만들기 > 숫자들의 배수

1이상 10이하의 정수 중 한 개를 입력받아 배수들을 차례로 출력하다가 5의 배수가 2번 출력되면 종료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단, 배열을 이용하여 해결해보세요. # 배열 선언 arr = [] cnt = 0 # 정수 한 개를 입력받아 배열의 첫 인덱스에 저장 n = int(input()) arr.append(n) # 입력받은 정수의 배수를 배열에 저장 for i in range(1, 10): a = arr[i - 1] + arr[0] arr.append(a) # 배열의 원소들을 출력하다가 5의 배수가 2번 나오면 출력을 멈춤 for elem in arr: print(elem, end=" ") if elem % 5 == 0: cnt += 1 if cnt >= 2: break # 나의 풀이 ------..

[코드트리] 배열 만들기 > 짝수인 것만 출력하기

n개의 원소가 주어졌을 때, 주어진 n개의 원소 중 짝수인 값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단, 짝수인 값을 새로운 배열에 저장한 뒤 출력해 보도록 합니다. # 변수 선언 및 입력 n = int(input()) # 배열에 주어진 수를 입력받아 저장합니다. 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new_arr = [] # n개의 정수 중 짝수만 새로운 배열에 저장 for elem in arr: if elem % 2 == 0: new_arr.append(elem) # n개의 정수 중 짝수만 출력 for elem in new_arr: print(elem, end=" ") # 나의 풀이 -------------------------- n = int(input()) arr = ..

[코드트리] 배열 만들기 > 일의 자리 배열

10 미만의 정수 두 개가 주어지면 순서대로 첫 번째, 두 번째 항으로 설정한 후 세 번째 항부터는 전전항과 전항의 합을 구하여 그 합의 1의 자리로 채워서 차례로 10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# 처음 두 수 입력 p1, p2 = tuple(map(int, input().split())) arr = [] # 앞의 두 수를 더한 값을 원소로 합니다. arr.append(p1) arr.append(p2) for i in range(2, 10): arr.append((arr[i - 2] + arr[i - 1]) % 10) # 10개의 정수를 출력 for elem in arr: print(elem, end=" ") # 나의 풀이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arr = l..

[python] 피보나치 수열 만들기

방법 1 - append 함수 이용하기 arr = [0, 1, 1] # 3번째 항부터 10번째 항까지 추가 for i in range(3, 11): arr.append(arr[-1] + arr[-2]) # 10번째 항 출력 print(arr[10]) >> 55 방법 2 arr = [0, 0, 0, 0, 0, 0, 0, 0, 0, 0, 0] arr[1] = arr[2] = 1 # 3번째 항부터 10번째 항까지 추가 for i in range(3, 11): arr[i] = arr[i - 1] + arr[i - 2] # 10번째 항 출력 print(arr[10]) >> 55 방법 3 pp, p = 1, 1 for _ in range(3, 11): pp, p = p, pp + p print(p) >> 55

[코드트리] 배열 만들기 > 제곱하여 출력하기

n개의 원소가 주어졌을 때, 주어진 n개의 원소에 각각 제곱을 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# 변수 선언 및 입력 n = int(input()) # 배열에 주어진 수를 입력받아 저장합니다. 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n개의 정수를 제곱한 배열을 새로 만듭니다. new_arr = [elem * elem for elem in arr] # n개의 정수를 출력합니다. for i in range(n): print(new_arr[i], end=" ") # 나의 풀이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n = int(input()) 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new_arr = [i ** 2 for..

[python] list comprehension 배열 만들기

리스트 arr의 각 원소들을 2배하기 arr = [1, 2, 3, 5] new_arr = [] for elem in arr: new_arr.append(elem * 2) print(new_arr) >> [2, 4, 6, 10] list comprehension으로 더 간단히 작성 가능 arr = [1, 2, 3, 5] new_arr = [elem * 2 for elem in arr] print(new_arr) >> [2, 4, 6, 10] 조건문을 포함하는 list comprehension list comprehension + for loop [(append 안에 들어갈 내용) (for loop) ] 예시 list_ = [1, 9, 25, 49, 81] list_ = [i ** 2 for i in ran..

[코드트리] 한 줄에 여러 개 입력 > 짝수들을 거꾸로 출력

n개의 원소가 차례대로 주어졌을 때, 짝수인 수만 출력하려고 합니다. 이 때, 출력의 순서를 입력의 순서와 반대로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예를 들어, 입력된 숫자들이 1 2 3 4 5 6 이라면 출력이 6 4 2 가 되도록 합니다. # 정수의 개수 n을 입력받습니다. n = int(input()) # 배열을 구현하여 주어진 수를 입력받습니다. 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입력받은 수들을 거꾸로 보면서 짝수인 값만 출력합니다. for i in range(n-1, -1, -1): if arr[i] % 2 == 0: print(arr[i], end=" ") # 나의 풀이 ---------------------- n = int(input()) num = list..

[코드트리] 한 줄에 여러 개 입력 > 시험 통과 여부 확인하기

10명 미만의 학생들의 4과목 점수가 주어집니다. 평균이 60점 이상이면 통과입니다. 통과했다면 'pass'를 출력하고, 통과하지 못했다면 'fail'을 출력하고 통과한 사람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 # 학생 수 n 입력받기 n = int(input()) # 통과한 사람의 수를 나타내는 변수 : pass_people pass_people = 0 for _ in range(n): # 배열에 주어진 수를 입력받아 저장합니다. 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4과목의 점수의 합을 구합니다. sum_val = sum(arr) # 평균을 구합니다. avg = sum_val / 4 # 출력 if avg >= 60: print("pass") pass_people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