취뽀 기록

#열심히 살자 #취업 #공부

기타/[하나로_수업]

5/11

hyunnn_00 2023. 5. 11. 17:31

용어

  • 이진 숫자 : 0과 1로 이루어진 컴퓨터 언어
  • 이진 코드 : 이진 숫자로 이루어진 코드
  • 소스 코드 :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
  • 코드 실행기 :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으므로 이를 이진 숫자로 변환해 주는 역할
  • Pandas : 금융 데이터, 시계열 데이터 처리에 적합
  • 텍스트 에디터 + 코드 실행기 = 통합 개발 환경(IDE)
▶️ 키워드 VS 식별자
  • 키워드
    •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, 예약된 단어
    • 변수나 함수 이름을 정할 때 키워드 사용 X
    • 대소문자 구별
  • 식별자
    • 변수, 함수 등의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
    • 키워드 사용 불가
    • 특수 문자는 언더바(_)만 사용 가능
    • 숫자로 시작 X
    • 공백 포함 X

 

 

 💡 괄호 자동으로 닫을 때 드래그 → 괄호 여는 단축키 ⇒ 괄호 자동으로 닫힘

 


  • 식별자를 잘 구별하기 위한 작성 방법
    1. 스네이크 케이스 = 뱀과 닮은 모양 : 모두 소문자이거나 대문자인 평평한 모양
      • 단어와 단어 사이를 언더바(_)로 구별
      • 소괄호() : 함수
      • 소괄호 X : 변수
    2. 캐멀 케이스 = 낙타와 닮은 모양 :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이고 나머지는 소문자인 울퉁불퉁한 모양
      • 클래스

파이썬 자료형

✏️  자료형 : 자료의 형식 = 기능과 역할에 따라 구분한 것
  • 문자열(string) : 고객 이름, 고객 주소 등 → str
  • 숫자(number) : 물건의 가격, 고객 점수 등 → 정수 int, 실수 float
  • 불(boolean) : 고객 로그인 상태 등 → True / False
  • 같은 따옴표로만 사용하고 싶다면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면 됨
  • 이스케이프 문자
    • 역슬래시(\)와 함께 사용하는 특수 문자
      • 큰 따옴표 =\”
      • 쟉은 따옴표 =\’
      • 줄 바꿈 = \n
      • 탭 = \t
      • 역슬래시 = \\
    ex) print(”He said \\”Hello\\””)
    
    ex) print(”Python\\nBasic\\nClass”)
    

문자열 연산자

    • : 문자열 합쳐주기
    • : 문자열 반복

*문자열 연산자 +, 에는 우선순위가 존재

인덱스 & 인덱싱

  • 인덱스 : 자료의 위치
    • 대괄호 안에서 위치를 지정
    • 위치를 번호로 표현할 때., 파이썬에서는 제로 인덱스를 사용 → 제로 인덱스 : 시작 번호가 0 / 원 인덱스 : 시작 번호가 [1]
 ✏️ - 파이썬에서 인덱스를 사용하기 위해 대괄호 [ ] 사용
  • 슬라이싱 : 인덱스의 범위를 이용하여 인덱싱하는 것
    • 범위는 시작 번호와 끝 번호 사이에 콜론(:)으로 연결
    • 파이썬에서는 끝 번호 포함 x
print("Hello")[0:3] -> 0~2 => Hel
print("Hello")[1:3] -> 1~2 => el
  • 범위 지정시, 시작 번호나 끝 번호 생략 가능
    1. 시작 번호를 생략하는 경우 = 0부터 시작
    2. 끝 번호를 생략하는 경우 = 끝 번호 까지
print("안녕하세요")[:2] -> 0~2 => 안녕
print("안녕하세요")[2:] -> 2~4 => 하세요

문자열 길이

  • len( ) 함수
    • 문자열 길이 값을 반환
    • 문자열 길이 = 문자열의 문자 개수
    • 함수는 안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적용
    print(len("hello")) 
    =>  5
    

변수

복합 대입 연산자

  • 숫자에서 사칙 연산자 등 기본 연산자와 = 기호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
    • += 더하기 후에 대입
    • -= 빼기 후에 대임
    • *= 곱하기 후에 대입
    • /= 나누기 후에 대입
    • //= 몫을 구한 후에 대입
    • %= 나머지를 구한 후에 대입
    • ** 제곱 후에 대입

사용자 입력한 값을 반환하는 함수

  • 함수 input()
    • 프롬프트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받을 때 사용
    • 예) input(”값을 입력하세요>”)
    • 함수 input( )이 실행될 때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기 전까지 프로그램이 잠시 멈춤 ⇒ 블록 (값을 입력하는 부분에 있는 커서로 확인 가능)
    • 값을 입력하면 입력한 값이 출력됨
      var1 = input("문자를 입력하세요> ")
      print(type(var1))
      => 문자를 입력하세요> zz
      		<class 'str'>
      
    • → 이때, 입력한 값은 문자열로 저장됨
    • 함수 input( )을 사용하여 숫자로 입력한 값을 연산해야 하는 경우
      • 캐스트 함수 :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
        1. 함수 int( ) : 정수형 숫자로 변환
        2. 함수 float( ) : 실수형 숫자로 변환(정수 & 실수 모두 입력 가능)
    input_a = input("첫번째 정수를 입력하세요> ")
    input_b = input("두번째 정수를 입력하세요> ")
    int_a = int(input_a)
    int_b = int(input_b)
    print("문자열 = ", input_a + input_b)
    print("정수 = ", int_a + int_b)
    
    input_a = input("첫번째 실수를 입력하세요> ")
    input_b = input("두번째 실수를 입력하세요> ")
    float_a = float(input_a)
    float_b = float(input_b)
    print("문자열 = ", input_a + input_b)
    print("실수 = ", int_a + int_b)
    
  • 함수 str( ) :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

'기타 > [하나로_수업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/16  (0) 2023.05.16
5/15  (0) 2023.05.15
5/12  (0) 2023.05.12
5/10  (1) 2023.05.10
5/9  (1) 2023.05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