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c의 주요 사용 사례:
- 단일 행 선택: 특정 행 라벨을 지정하여 해당 행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df.loc['행 라벨']
- 다중 행 선택: 행 라벨의 리스트를 지정하여 여러 행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df.loc[['행 라벨1', '행 라벨2']]
- 행과 열 모두 선택: 행 라벨과 열 이름을 지정하여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df.loc['행 라벨', '열 이름']
- 조건에 따른 행 선택: 조건식을 사용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행만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df.loc[df['열 이름'] > 10]
- 슬라이싱을 통한 범위 선택: 슬라이스를 사용하여 연속된 행 또는 열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df.loc['시작 행 라벨':'끝 행 라벨', '시작 열 이름':'끝 열 이름']
- 값 변경: loc을 사용하여 특정 위치의 값이나 조건에 부합하는 위치의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df.loc[df['열 이름'] == '조건', '변경할 열 이름'] = '새로운 값'
'Python > [개념 및 문법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결측치 처리, 대체 map 함수 (0) | 2024.05.03 |
---|---|
[python] 2차원 리스트 사용하기 (0) | 2023.07.17 |
[python] 2차원 배열과 for문 (0) | 2023.07.14 |
[python] 2차원 배열 입력받기 (0) | 2023.07.14 |
[python] 2차원 배열 선언과 활용 (0) | 2023.07.14 |